유네스코가 지정한 창덕궁 세계문화유산의 가치를 발견하다

유네스코 지정유산으로 지정된 기간은 다음과 같다.

종묘(1995), 해인사 판전(1995), 불국사 석굴암(1995), 창덕궁(1997), 수원화성(1997), 경주유적지(2000),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터(2000)

창덕궁

창덕궁은 조선 3대 태종 5년(1405)에 경복궁의 두 번째 궁궐로 건립되었으며, 이때 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등 중요한 궁궐들이 세워져 대조전이 완성되었다.

. 그러다가 태종 12년(1412년)에 둔화문을 세웠고, 세조 9년(1463년)에 정원을 확장하여 약 62,000평에 이르렀고, 궁전은 150,000평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선조 40년(1607)에 중건하여 광해군 5년(1613)에 완공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그 후 여러 차례 화재가 발생하여 1917년에 대종사당과 국회의사당이 소실되었습니다.

창덕궁은 1610년 광해왕 때 정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868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까지 258년 동안 역대 왕들이 정무를 처리하던 정궁이었습니다.

창덕궁 내부에는 가장 오래된 정문인 둔화문, 신하를 맞이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인정정, 국정을 논의하는 현정전이 있습니다.

거실에는 파티, 산책, 공부를 위한 매우 넓은 공간이 후원하에 만들어졌습니다.

대웅전의 공간건물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높였으며, 거실의 건물은 대웅전보다 낮고 간소하며, 뒤뜰에는 여흥공간으로 작은 누각을 많이 지어 자연 지형을 압도합니다.

건축배치는 경복궁의 대궐, 창경궁과 경희궁의 궁궐, 정문·대궐·전당·침실 등을 일직선상 대칭으로 배치하여 궁궐의 위엄을 잘 나타내고 있다.

동쪽으로 들어가면 인정전(仁正堂), 선정전(善堂政堂) 등 대청이 북쪽에 있다.

또한 건물의 배치는 정전의 동쪽에 배치된 편전과 정착지 등 여러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이러한 인공건축물은 자연지형에 의존하여 자연지형을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자연림 속에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어 자연과 인간이 함께 만들어낸 완벽한 건축의 상징이다.

또한 한때 왕의 안식처였던 뒷뜰은 300년 수령의 나무와 연못, 정자 등의 정원 시설이 자연과 어우러져 건축과 조경사에서 헤아릴 수 없는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후원은 태종 5년(1405) 창덕궁을 창건할 때 후원으로 조성한 것으로 창경궁과도 연결되어 있다.

창덕궁 뒤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조경시설로 자연지형에 꽃과 나무를 심고 못을 박아 건물을 아름답고 조화롭게 배치하였다.

1592년 왜적의 중국침략으로 대부분의 누각이 소실되었고 나머지 누각은 인조 원년(1623) 이후에 수리·확장되었다.

이곳에는 온갖 진귀한 나무들이 자라고 있고, 건물과 연못이 많아 왕과 왕비가 휴식을 취하고 몸을 가꾸고 책을 읽고 잔치를 벌이는 곳입니다.

창덕궁은 조선시대 전통 건축물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건축과 조경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으며 뒷정원은 세계적 조형의 면모가 특징으로 동양조경의 진수를 감상할 수 있다.

. 창덕궁의 역사에 대한 기록은 “조선기록”, “공월지”, “창덕궁 조영환환규정”, “동월도” 등에 기록되어 있다.

특히 1830년경에 그려진 “동월투(국보 제249호)”는 창덕궁의 건축배치와 형태를 시각화한 것으로, 궁궐의 역사와 건축을 연구하고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창덕궁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둔화문(보물 제383호), 인정문(보물 제813호), 인정전(국보 제225호), 대서전(보물 제816호), 국현원전(보물 제80호.817)) .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세계문화유산의 가치

동아시아 궁궐건축사에서 비정형미를 지닌 대표적인 궁궐로 주변 자연환경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배치가 우수하다.

*등록기준 : 세계문화유산 기준(II),(III),(IV)(II) 일정 기간 이내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에 해당하는 건축, 기념비 조각, 정원, 조경 등 디자인, 관련 예술 또는 개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간 정착지의 유산.
(III) 독특하고 매우 희귀하거나 매우 오래된 유산;
(iv) 중요한 문화, 사회, 예술, 과학, 기술 또는 산업 발전을 나타내는 건축 양식의 가장 독특한 예.